본문 바로가기
추천도서

(13) 보도 섀퍼의 이기는 습관 - 보도 섀퍼

by 제임스-지식보고 2024. 1. 10.
728x90
반응형

 

*모든 글은 본인이 직접 남기는 독서 기록들입니다

 

오늘 소개할 책은

바로 전 포스팅에서 다룬 보도 섀퍼의 <멘탈의 연금술>을 통해 많은 것을 배우게 된 후

부대의 도서관에서 찾은 <이기는 습관>이다. 

 

사람들은 누구나 인생에서, 각자의 필드에서 위너(winner)가 되고 싶어하고 되려 노력한다. 

오늘의 책의 저자 보도 섀퍼역시 그 무엇보다 성공과 행복에 이르는 공식을 알아내고자 노력했다.

 

그러나 결론은 이 세상에 행복과 성공을 보장하는 공식은 존재하는 않는다.

 

우리의 삶에는 너무나도 많은 변수가 존재하고 그로 인해 삶은 매 순간 변화하기에

성공과 행복을 보장하는 공식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렇기에 저자는 조금 다른 관점으로의 접근을 시도했다.

 

공식 대신, 이미 답을 알고 있는 나를 믿고 확신을 가지는 것.

또한, 자신의 목소리를 신뢰하는 것이 저자가 내린 성공으로의 한걸음이다.

 

이 책은 자신의 내면에 귀 기울여 탁월한 성공과 지혜로운 삶은 얻은 사람들의 이야기를 소개한다. 그들은 타인이 만든 법칙과 이정표가 아니라 자신의 목소리를 믿고 따라간 사람들이다. 

그 예시로 바로 NIKE 이다. 

 

1960~1970년대 ADIDAS는 전 세계 스포츠화 시장에서 독보적인 존재였다.

그런 시기에 몇몇 젊은이가 운동화회사를 창업했고 한자리에 모여 판도를 바꿀 수 있는 전략을 모색했다.

뜨거웠던 토론 중 한 젊은이가 "세상이 뭐라고 떠들던 상관하지 말고 그냥 하자"라고 말했다.

이것이 "Just Do It"이다.

 

이것을 회사의 슬로건으로 내세웠고 창업 후 10년이 되지 않아

아디다스를 앞질러 전 세계 최대 스포츠용품 기업으로 성장했다. 

 

위너들은 한결같이 동일하게 "인간의 가장 큰 재능은 행동에 나서도록 스스로 동기부여 할 줄 안다는 것이다"라며 말한다. 우리의 삶 가운데 Just Do It이 성공하려면 먼저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어떤 행동을 하고 싶어하는지를 정확히 알아야 한다.

 

CEO들은 모두 안주하고 새로운 발걸음을 딛지 않으면 경쟁에서 차근차근 밀려난다는 것을 안다.

삶의 주인 역시 마찬가지이다.

위너는, 삶의 주인공임이 나 자신임을 아는 사람은 절대 포기할 줄 모르는 바보이며 끊임없이 새로운 발걸음을 내딛는다. 

 

책을 통해 위너의 삶들을 보며 나의 뇌리에 저자의 "위너의 삶을 따르는것이 아니라 위너라 되라"라는 말이

계속해서 떠오른다. 위너가 되는 과정에는, 꼭 위너만이 아닌 모든 삶 가운데는 크고 작은 비극들이 존재한다.

많은 사람들은 슬픈 일 겪고 나서야 비로소 바보 같은 짓을 멈추고 삶에서 진실로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깨닫는다.

또한 바쁘다는 이유로 아름다움과 젊음을 누리지도, 주변 사람들과 환경에 고마움을 전하지도 않는다.

그러다가 감당할 수 없는 일이 발생하면 이를 견디지 못해 철저하게 무너지고 만다.

"비극은 삶의 일부이다." 누구도 피할 수 없다. 비록 피할 수는 없지만 무너지지 않고 극복할 수는 있다.

 

극복하는 방법은

과거에 얽매이지 않고,

다가오지 않은,

알 수 없는 미래를 걱정하지 않으며,

지금의 현재에서 소중하게 여겨야 할 것들을 소중히 여기고 감사해야 할 것들에 감사하는 것이다.

 

위너들의 언어 습관이나 인터뷰등을 면밀히 살펴보면 "마법 같은 순간들"이라는 표현을 즐겨 사용한다.

마음을 행복과 평화로 가득 채웠던 마법 같은 순간들을 힘들고 괴로웠던 순간들보다 더 많이 떠올리고

이에 대해 눈빛을 반짝거리며 이랴기하기를 좋아한다.

 

위너들은 언제나 절망, 슬픔, 걱정, 우울 대신에 행복한 마법 같은 순간들에 먹이를 주어 키운다. 

 

오늘 하루를 또 보내며 분명 분한 일도, 슬픈 일도, 기쁜일도, 안도한 일도 있었을 것이다. 

 

여러 일들이 있었겠지만 행복한 마법 같은 순간들에 먹이를 주어 키우고 집중하기에도

우리의 반짝이는 삶은 충분히 짧지 않을까?

 

*댓글과 공감은 계속해서 기록들을 이어나가는데 큰 힘이 됩니다:)

728x90
반응형